본문 바로가기
정보정보

중위소득 100% 기준

by 찐한정보 2025. 5. 15.

2025년 복지 정책과 각종 지원제도의 기준이 되는 ‘가구 중위소득 100%’가 발표되었습니다. 중위소득은 우리나라 모든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세웠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이 수치는 기초생활보장, 주거급여, 각종 바우처 등 다양한 복지제도의 선정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 목차 ]

    2025년 가구원수별 중위소득 100% 금액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00%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월, 원)

    가구원수 2024년 2025년
    1인 가구 2,228,445 2,392,013
    2인 가구 3,682,609 3,932,658
    3인 가구 4,714,657 5,025,353
    4인 가구 5,729,913 6,097,773
    5인 가구 6,695,735 7,108,192
    6인 가구 7,618,369 8,064,805

    예를 들어, 4인 가구라면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00%는 월 6,097,773원입니다.

    1인 가구는 월 2,392,013원, 3인 가구는 월 5,025,353원이죠.

     

    소득 계산 바로가기

    복지로 모의계산은 정부 공식 복지포털인 ‘복지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가구의 소득과 재산 정보를 입력하면 내가 받을 수 있는 복지서비스와 자격 여부, 예상 지원금액 등을 미리 확인해볼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가구 소득을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모의계산 메뉴 선택

    상단 메뉴에서 ‘복지서비스’ → ‘모의계산’을 클릭합니다.

     

    기본 정보 입력

    가구원수, 거주지, 소득, 재산, 부양의무자 등 자신의 상황에 맞는 정보를 입력합니다.
    예) 근로소득, 사업소득, 부동산, 자동차 등

     

    결과 확인

    입력한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자동으로 계산되고, 신청 가능한 복지서비스와 예상 지원금액, 선정 기준 충족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복지로 모의계산 결과는 참고용으로, 실제 복지서비스 신청 시에는 정부의 공식 심사와 자료 확인을 통해 최종 결정됩니다.
    입력한 정보가 실제와 다르거나, 공적자료와 차이가 있으면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중위소득 100% 기준의 의미와 활용

    • 중위소득 100%는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소득 분포에서 정확히 중간에 해당하는 금액입니다.
    • 정부는 이 수치를 기준으로 기초생활보장, 주거급여, 긴급복지, 청년 월세 지원 등 다양한 복지 정책의 대상자를 선정합니다.
    • 예를 들어, ‘중위소득 50% 이하’라면, 해당 연도 중위소득 100%의 절반 금액이 기준이 됩니다.
    • 각종 복지사업, 바우처, 장려금 등은 중위소득 100% 또는 그 이하를 기준으로 지원 대상을 정합니다.

     

    2025년 중위소득 100% 주요 특징

    • 역대 최대 인상폭: 2025년에는 4인 가구 기준 전년 대비 6.42%가 인상되었습니다.
    • 더 많은 복지 혜택: 중위소득이 오르면서, 더 많은 국민이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 맞춤형 급여체계: 중위소득 기준은 맞춤형 급여체계로 전환된 2015년 이후 매년 조정되고 있습니다.

     

    마무리

    2025년 가구 중위소득 100% 기준은 복지정책의 핵심 기준이 되는 중요한 수치입니다. 본인의 가구원수와 소득을 비교해 각종 복지제도 신청 자격을 미리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01234567891011121314
    01234567891011121314
    01234567891011121314


    최신 중위소득 정보는 해마다 변경되니, 매년 발표되는 기준을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정보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검사 유효기간 조회  (0) 2025.05.15
    밀가루가 안 좋은 이유 7가지  (0) 2025.05.15
    카톡 차단 확인방법  (0) 2025.05.15
    카톡 조용히 나가기 방법  (0) 2025.05.15
    민원24시 홈페이지 바로가기  (0) 2025.05.15